1. 브릿지의 기본 이해
- 고정 브릿지(Fixed Bridge)
양쪽 지대치(abutment teeth)에 크라운을 씌우고 그 사이에 인공 치아(포세린·세라믹)를 연결한 형태 - 캔틸레버 브릿지(Cantilever Bridge)
한쪽 지대치에만 보철물을 걸어 고정(인접치 삭제를 최소화할 때 사용) - 메릴랜드 브릿지(Maryland Bridge)
금속·레진으로 제작한 날개를 지대치 뒷면에 접착 - 임플란트 지지 브릿지(Implant‐Supported Bridge)
임플란트에 보철물을 결합해 자연치에 가깝게 안정적인 지지 제공
모든 브릿지의 공통 관리 포인트는 ‘보철물과 잇몸 사이, 지대치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2. 일상 홈케어 전략
2-1. 올바른 칫솔질
- 부드러운 칫솔모 사용
- 딱딱한 칫솔모는 시멘트와 잇몸 점막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45° 법칙
- 칫솔모를 치아와 잇몸 경계에 45°로 대고 작은 원을 그리듯 진동하며 닦아, 플라그를 제거합니다.
- 저작면‧교합면‧인접면 구분
- 교합면(씹는 면)은 수평으로, 인접 치아 사이와 보철물 경계는 칫솔 모를 세워 세심히
2-2. 보조 도구 활용
- 플로스 스레더(Floss Threader)
보철물 아래로 치실을 통과시켜 플라그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수퍼플로스(Super Floss)
강한 스펀지형 부위가 있어 보철 경계면 세정에 효과적입니다. - 치간칫솔(Interdental Brush)
지대치와 교합판 사이, 치아 사이 공간이 넓은 경우 작은 사이즈(0.6–1.2mm)를 골라 사용 - 구강세정기(Water Flosser, 워터픽)
매일 한 번, 낮은 수압부터 시작해 보철물·잇몸 경계에 분사해 세균막 제거 및 잇몸 마사지
2-3. 밤간 보관법(탈착식 브릿지)
- 브릿지가 탈착식일 경우
- 사용 후 물로 헹군 뒤 전용 용기에 담기
- 틀니용 세정제에 5–10분 침지
- 깨끗한 물로 재헹구고 완전 건조 후 보관
3. 전문가 관리 & 정기 점검
3-1. 스케일링 및 PMTC
- 3–6개월 간격
- 브릿지 전용 플라스틱·티타늄 팁으로 지대치와 브릿지 사이 치석 제거
- PMTC(Professional Mechanical Tooth Cleaning)로 착색 제거 및 보철 표면 광택 유지
3-2. 방사선 검사
- 1년 1회 이상
- 소구치용·파노라마 X-ray로 지대치 근관·치조골 상태 확인
- 시멘트 용출, 치아 뿌리 우식병소, 골흡수 등 조기 발견
3-3. 치주낭 탐침
- 프로브로 지대치 주변 치주낭 깊이 측정
- 3mm 이하 정상, 4mm 이상 시 치주 치료·루트플래닝 검토
3-4. 보철물 점검
- 시멘트 마모·탈락 여부, 크랙·파절 체크
- 보철물 변색, 접착 부위 균열 시 신속한 재시멘트 혹은 재제작
4. 식습관 및 생활습관 주의사항
- 끈적끈적·단단한 음식 피하기
- 카라멜, 땅콩버터, 딱딱한 견과류 등은 보철물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당도 조절
- 단 음식·탄산음료 섭취 후 30분 이내 부드러운 헹굼 또는 양치
- 금연·절주
- 흡연은 잇몸 혈류 저하로 치주염·시멘트 부착 불량을 초래
- 과도한 음주는 구강 건조·염증 악화를 유발
- 이갈이(bruxism) 관리
- 야간 나이트가드 착용으로 과도한 하중 분산
5. 이상 징후 대처법
- 보철물 흔들림: 절대 노력금지, 즉시 치과 방문
- 통증·압통: 진통제 복용 후 2일 이상 지속 시 내원
- 잇몸 출혈·종창: 즉시 진단·스케일링·항염 치료
- 시린 느낌: 시멘트 마모·우식 여부 확인 및 재수복
6. 결론
브릿지는 빠르고 심미적인 보철 솔루션이지만, **“한 번 제작 후 방치”**해서는 안 됩니다.
일상 홈케어(칫솔·치실·치간칫솔·워터픽), 전문가 관리(스케일링·방사선·탐침),
식습관 교정, 생활습관 개선을 조화롭게 병행할 때만이
“오래·튼튼·안정적인 브릿지”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라도
1️⃣ 올바른 칫솔질,
2️⃣ 치실 스레딩,
3️⃣ 구강세정기 사용,
4️⃣ 정기 치과 방문
이 네 가지를 매일·매 6개월 실천해 보세요.
꾸준한 관리가 여러분의 자연치에 가까운 편안한 저작,
그리고 환한 미소를 지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