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6)
홈케어 vs 전문가 관리: 전동칫솔·구강세정기 활용법 1. 홈케어의 핵심 도구: 전동칫솔과 구강세정기1-1. 전동칫솔(Electric Toothbrush)장점칫솔모가 초당 5,000~40,000회진동(오실레이션·소닉)해 플라그 제거 효율 ↑2분 타이머 내장으로 양치 시간을 정확히 지킬 수 있음손목·팔 근력 부담 ↓, 어린이·노년층·손·관절 질환자에 유리사용법칫솔모를 치아에 가볍게 대고, 칫솔 위치를 바꾸며 2분간 고루 움직이기치아와 잇몸 경계, 어금니 치면·저작면, 혀 뒤쪽까지 꼼꼼히물로 간단히 헹군 뒤 칫솔모 사이사이에 이물질이 남지 않도록 건조주기·관리칫솔모는 3개월마다 교체칫솔 손잡이는 방수 등급(IPX7 이상) 확인, 충전·배터리 상태 점검충전 크래들·충전 단자에 물기 제거1-2. 구강세정기(Oral Irrigator / Water Flosser)장..
새로운 시대의 스마트 구강 관리 웨어러블 구강 센서 및 원격 모니터링새로운 시대의 스마트 구강 관리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건강 관리를 혁신하듯, 치과 분야에도 웨어러블 구강 센서(Wearable Oral Sensors) 와 원격 모니터링(Remote Monitoring) 기술이 적용되어 환자의 구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기존에는 환자가 치과를 방문해야만 구강 검진과 진단이 가능했으나, 이제는 환자 자택에서도 구강 내 수분, pH, 온도, 박테리아 농도, 교합력(씹는 힘) 등을 측정해 데이터를 치과로 전송하고, 치과의사는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처방과 생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1. 웨어러블 구강 센서의 유형과 원리1-1. 칫솔형 센서구성: 칫솔에 압력 센서, 모션 센서..
구강 내 항생제 사용 현황과 문제점 1. 구강 내 항생제 사용 현황과 문제점예방적·경구 투여의 빈번함발치·임플란트 수술 전후, 상악동 거상술 등에서 프로피락시스로 광범위 베타락탐,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 처방이 잦습니다.그러나 실제로는 가이드라인이 권고하는 최소용량·최소기간보다 장기간·고용량 처방이 흔해, 불필요한 노출이 일어납니다.구강 국소 항균제의 무차별 사용클로르헥시딘 가글제·젤은 0.12–0.2% 농도로 구내 세균총 억제에 효과적이나, 2주 이상 장기 사용 시 균종 교체와 내성 발현 위험이 증가합니다.구강청결용 구강스프레이·페이스트 제품에도 과산화수소·포비돈요오드 성분이 포함되는데, 과다 사용 시 통상적으로 유익균까지 제거하며 내성균의 선택 압력이 커집니다.환자 순응도 저하와 재감염 악순환장기간·고농도 항생제 사용 시 구강 건조,..
입속에 숨은 생태계, 그 비밀을 풀다 1. 서론: 입속에 숨은 생태계, 그 비밀을 풀다입 속에는 약 700여 종의 미생물이 공존하며, 이른바 구강 마이크로바이옴(oral microbiome) 을 형성합니다. 이 미생물들은 충치·치주염 같은 구강 질환뿐 아니라 전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최근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Next-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의 발전으로 이 복잡한 군집 전체를 한 번에 조사하는 유전체 분석(Metagenomics) 이 가능해졌습니다.구강 미생물 유전체 분석은 기존의 배양법으로는 확인할 수 없던 ‘숨은 균주’까지 포착해, 질환 발생 기전 이해와 개인 맞춤형 예방·치료 전략 수립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습니다.2. 구강 미생물 유전체 분석이란?일반적인 유전체 분석은 특정 세균의 DNA만 조사하는 ..
구강건조증 치료를 위한 생체 재료 · 스마트 약물 전달 시스템 구강건조증이란 무엇인가?구강 건조증(xerostomia)은 침 분비가 감소해 입안이 마르고, 말하거나 삼킬 때 불편함을 느끼는 상태를 말합니다. 침은 단순히 음식물 소화를 돕는 역할을 넘어, 구강 내 pH 조절, 항균·항바이러스 작용, 미각 유지, 치아 법랑질 보호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침 분비가 저하되면 충치, 구내염, 잇몸 질환, 구취 등 2차 합병증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전통적으로 구강 건조증 치료는 ▲타액 분비 자극제(필옥세핀, 세비멜린 등) ▲인공타액(가글·젤) ▲수분 보충 및 생활습관 개선 등이 중심입니다. 그러나 이들 방식은 일시적 완화에 그치거나 투약 부작용, 지속성 부족, 환자 순응도 저하라는 한계가 분명합니다. 최근에는 생체재료(Biomaterials) 와 스마트 약물..
구강 내 줄기세포의 발견과 특성 1. 구강 내 줄기세포의 발견과 특성치아 재생 연구의 출발점은 ‘구강 내에도 다양한 줄기세포가 존재한다’는 사실의 발견입니다. 대표적인 구강 줄기세포로는 다음 세 가지가 꼽힙니다.치수줄기세포(Dental Pulp Stem Cell, DPSC)치아 내부의 연조직(치수)에서 추출되며, 신경·혈관·치아 상아질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닙니다.치주인대줄기세포(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 PDLSC)치아와 잇몸뼈를 연결하는 치주인대 조직에 존재하며, 치조골과 잇몸조직을 재생하는 데 유리합니다.치근막줄기세포(Apical Papilla Stem Cell, SCAP)지치근(뿌리 끝) 부위 작은 조직에서 유래해, 치아 뿌리 형성 및 연부조직 재생에 특화된 세포입니다.이들 세포는 모두 ..
치주질환의 발생 기전과 면역 반응 1. 치주질환의 발생 기전과 면역 반응치주질환은 단순히 플라그(치태) 축적에 의한 세균 감염만이 원인이 아닙니다.세균 독소가 치주 조직에 염증을 유발하고,숙주의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며 조직 손상을 가속화합니다.여기서 중요한 점은, 면역 세포가 염증 매개 물질(Cytokine, MMP 등)을 분비하면서 잇몸 조직과 치조골이 파괴된다는 것입니다.2. 비타민 D의 역할: 면역 조절과 골 대사2.1 면역세포 활성 조절비타민 D는 면역세포(T세포, 대식세포 등)에 작용해 과도한 염증 반응을 억제합니다.이를 통해 세균 감염에 대한 방어는 유지하되, 조직 파괴를 유발하는 만성 염증은 줄어듭니다.2.2 골형성 및 골흡수 균형비타민 D는 장에서 칼슘 흡수를 촉진하고, 뼈세포(osteoblast) 활성을 높여 치..
디지털 치과의 현재와 미래 – 혁신이 만드는 새로운 치과 진료 디지털 치과의 현재와 미래 – 혁신이 만드는 새로운 치과 진료"치과는 무섭고 아픈 곳"이라는 고정관념은 이제 옛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최첨단 기술의 발전과 함께 치과 진료의 패러다임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바로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디지털 치과(Digital Dentistry)**입니다.디지털 치과는 기존의 진료 방식에 정보기술, 컴퓨터 시스템, 3D 기술 등이 결합된 개념으로진단부터 치료, 보철물 제작, 환자관리까지 모든 과정이 디지털화된 것을 말합니다.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효율성을 넘어서, 정확도와 환자 경험을 극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디지털 치과의 현재 – 이미 우리 곁에 와 있는 기술들디지털 치과는 이미 현실 속에 다양한 형태로 도입되어 있습니다.다음은 현재 치과에서 널리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