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6) 썸네일형 리스트형 과잉치란? 1. 과잉치란 무엇인가?정의정상 치열보다 1개 이상 치아가 더 있는 상태로, 유전적·발달학적 요인에 의해 발생유병률전체 인구의 약 0.1–3.8%로 드물지만, 가족력·증후군(크루존 증후군, 다운 증후군 등) 환자에서 빈도가 높음발생 위치중절치 부위: 정중 과잉치(mesiodens)제3대구치 부위: 사랑니 과잉치기타 소구치·제1대구치·구치열 부위2. 과잉치의 분류형태에 따른 분류정상형(Conical): 원뿔 모양, 분리가 잘 되고 통증 적음정상치 형태(Tuberculate): 여러 봉우리(결절)로 이루어져 복잡한 모양치아 본연의 형태(Deciduous-like, supplemental): 본래 치아와 유사하게 생겨 진단이 어려움위치에 따른 분류정중 과잉치(Mesiodens): 상악 중절치 사이에 발생측방 .. 유치의 역할 1. 유치의 역할영구치 맹출을 위한 자리 마련유치는 영구치가 자랄 때까지 잇몸 공간을 지켜주며, 자리를 안내합니다.제때 빠지지 않으면 영구치 맹출이 방해받아 비정상적 배열(부정교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저작·발음·심미 기능유치는 음식물 씹기, 말 배우기, 웃을 때 자신감 형성에 기여합니다.조기 탈락 시 인접 치아가 이동해 발음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2. 유치 맹출 순서(젖니 나오는 순서)유치는 생후 6개월경 아래 앞니(하악 중절치)부터 시작해 약 30개월(2½세)까지 총 20개가 나옵니다.순서치아명맹출 시기(평균)1하악 중절치6~10개월2상악 중절치8~12개월3상악 측절치9~13개월4하악 측절치10~16개월5상·하악 제1유구치13~19개월6상·하악 견치16~22개월7상·하악 제2유구치25~33.. 치과 공포증(치아 공포증)이란 무엇인가? 치과 공포증(치아 공포증)이란?치과 공포증(Dental Phobia)이란 치과 진료 전·중·후에 과도한 불안과 공포를 느껴 치과 방문을 회피하거나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상태를 말합니다.대략 인구의 10~20%가 크고 작은 치과 공포를 겪는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충치나 잇몸병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해 구강 건강이 악화되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습니다.1. 치과 공포증의 주요 원인과거의 부정적 경험어린 시절 아픈 발치·주사 경험마취가 잘 안 돼 고통을 오래 겪은 기억소음·진동 공포드릴 소리, 초음파 스케일러 소리진동과 압박감이 주는 불쾌감무력감치과용 의자에 누워 고개를 뒤로 젖히고완전한 통제권 상실을 느끼며 불안신체적 민감성후두 반사(구역질)나 숨 막힘, 호흡 곤란턱관절·목의 불편함이 불안을 가중.. 이갈이(브럭시즘)의 원인 및 맞춤형 관리법 1. 이갈이의 정의와 분류수면성 이갈이 (Sleep Bruxism)대표적 수면장애 중 하나로,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치아를 갈거나 악물어 턱 근육에 과도한 힘이 가해짐주로 수면 초기 또는 중기, 얕은 수면 단계에서 발생각성성 이갈이 (Awake Bruxism)스트레스·집중·불안 상황에서 깨어 있는 동안 이를 강하게 악물거나 갈음하루 종일 지속되는 경우도 있어 턱·목·어깨 근육 과도 사용2. 주요 원인2-1. 심리·정서적 요인스트레스·불안·분노: 교감신경 활성화 → 무의식적 근육 수축강박성 성격: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사람에게 흔함2-2. 수면장애 연관수면무호흡증(OSA): 호흡 정지로 깨는 과정에서 무의식적 이갈이 유발불규칙한 수면 패턴: 야간 각성, 빛·소음 자극에 민감할 때 발생 빈도↑2-3. 생리·.. 디지털 교정(투명교정)의 장단점 비교 1. 디지털 교정이란?3D 스캔·디지털 설계초정밀 구강 스캐너(Intraoral Scanner)로 환자의 치열·치조골 모양을 3D 데이터로 취득CAD 소프트웨어에서 치아 이동 경로를 시뮬레이션하고, 각 단계별 트레이(aligner)를 설계맞춤 보철물 제작(3D 프린팅)3D 프린터나 밀링 머신으로 플라스틱 트레이를 출력1~2주 간격으로 단계별 디자인된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교체자가 탈착 방식환자가 식사·양치·행사 시 스스로 장치를 빼고 끼울 수 있음하루 20~22시간 착용이 권장2. 장점2-1. 우수한 심미성투명 재질로 제작되어 타인 눈에 거의 노출되지 않음사회·직장 생활 중 교정 장치가 부담스러운 성인에게 적합2-2. 쾌적한 구강 위생장치를 빼고 양치·치실 사용이 가능해 플라그·치석 축적을 줄임잇몸 출혈·.. 어금니 사랑니(사랑니) 발치, 언제 해야 할까? 1. 사랑니의 발육과 맹출 과정발육 시기사랑니는 유치 맹출 후 가장 늦게 자리 잡는 영구치로,상악(윗니)은 약 17~21세, 하악(아랫니)은 20~25세 사이에 맹출합니다.맹출 형태정상 맹출: 잇몸·턱뼈 공간이 충분해 곧게 올라옴매복·경사 맹출: 공간 부족으로 부분만 보이거나 비스듬히 자람수평 매복: 옆 치아 뿌리를 향해 눕듯 자라 충치·통증 원인2. 사랑니 발치가 필요한 대표적 상황부분 맹출로 인한 염증(Pericoronitis)사랑니 위 잇몸(치관낭) 아래 음식물·세균이 끼어 잇몸이 붓고 아픔입을 벌리기 어려울 정도로 심한 통증·발열이 동반될 수 있음인접 치아 손상·충치 유발매복된 사랑니가 바로 앞 어금니 뿌리를 누르거나 공간이 좁아음식물 저류로 측방치 충치가 잘 생김교합 불균형·얼굴 비대칭경사진 .. 브릿지(Bridge) 관리 방법 – 오래, 튼튼하게 사용하기 위한 완벽 가이드 1. 브릿지의 기본 이해고정 브릿지(Fixed Bridge)양쪽 지대치(abutment teeth)에 크라운을 씌우고 그 사이에 인공 치아(포세린·세라믹)를 연결한 형태캔틸레버 브릿지(Cantilever Bridge)한쪽 지대치에만 보철물을 걸어 고정(인접치 삭제를 최소화할 때 사용)메릴랜드 브릿지(Maryland Bridge)금속·레진으로 제작한 날개를 지대치 뒷면에 접착임플란트 지지 브릿지(Implant‐Supported Bridge)임플란트에 보철물을 결합해 자연치에 가깝게 안정적인 지지 제공모든 브릿지의 공통 관리 포인트는 ‘보철물과 잇몸 사이, 지대치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2. 일상 홈케어 전략2-1. 올바른 칫솔질부드러운 칫솔모 사용딱딱한 칫솔모는 시멘트와 잇몸 점막에 손상을 줄.. 틀니 관리와 입속 건강 유지 법 1. 틀니의 종류와 특징완전틀니(Full Denture)상악(윗니)·하악(아랫니) 전체 치아를 대신흡착력으로 고정하므로 착용 전 잇몸 표면이 건강해야 함부분틀니(Partial Denture)일부 치아만 상실된 경우 사용하는 국소 보철물기존 치아에 클라스프(고리)나 정확한 홈에 끼워 고정임플란트 지지 틀니(Overdenture)잇몸뼈에 식립한 2~4개의 임플란트에 틀니를 끼움흡착력·안정감이 뛰어나고, 저작력·편안함↑2. 틀니 착용 시 주의사항처음 착용: 이물감·침 분비 증가·말하기 어색함이 1~2주간 지속될 수 있음식사 시: 말고기나 단단한 음식은 피하고, 부드러운 음식(죽·수프·연두부 등)으로 시작말할 때: 천천히 발음하고, “ㄴ, ㄹ” 발음 시 혀 위치에 주의착용 시간: 하루 12시간 이상 착용하지 않..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